티스토리 뷰

널부러져 있는 많은 약들

건강보험공단에서 해마다 날아오는 ‘건강검진 통지서’. 받긴 했지만 이번에 내가 받아야 할 검진이 뭔지, 안 받으면 어떻게 되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부가 국민을 대상으로 무료로 제공하는 국가 건강검진 제도를 정확하고 실용적으로 정리합니다. 건강보험 가입자뿐 아니라 의료급여 수급자에게도 제공되는 제도이므로, 나이와 상황에 따라 놓치면 손해일 수 있습니다.


국가에서 해주는 건강검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구분 일반 건강검진 의료급여 생애전환기 검진
대상 건강보험 가입자 (20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자 중 66세 이상
목적 만성질환 조기 진단 노년기 건강 위험군 선별
검진 항목 혈압, 당뇨, 고지혈증, 간염, 우울증 등 인지기능, 우울증, 노인기능검사 등
검진 주기 기본 2년마다 (비사무직은 매년) 연령별 1회 또는 2년마다
 
진찰받는 남자상담받는 여자

일반 건강검진 개요

20세 이상이라면 거의 모두가 해당됩니다. 건강보험에 가입된 직장인, 지역가입자, 피부양자는 정기적으로 국가검진 대상이 됩니다.

검사항목 예시

  •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간기능, 신장기능
  • B형 간염 항원 검사 (40세)
  • C형 간염 항체 검사 (56세)
  • 골밀도 검사 (54, 60, 66세 여성)
  • 인지기능장애 검사 (66세 이상 2년마다)
  • 우울증 선별 검사 (20~79세 중 일부 연령)
  • 생활습관 평가, 구강검진, 노인신체기능검사

검진 시기: 기본 2년에 한 번, 비사무직은 매년. 홀수년도 출생자는 홀수해, 짝수년도 출생자는 짝수해에 해당합니다.

의료급여 생애전환기 검진 개요

건강보험이 없는 분들도 있습니다. 바로 국가가 병원비를 지원하는 ‘의료급여 수급자’입니다. 이 중 만 66세 이상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건강검진이 따로 있습니다.

검사항목 및 시기

  • 골밀도 검사 (66세 여성)
  • 인지기능검사 (66세 이상, 2년마다)
  • 정신건강검사(우울증) (70~79세 사이 1회)
  • 생활습관 평가 (70세)
  • 노인신체기능검사 (66, 70, 80세)

의료급여 대상자는 건강보험이 없는 대신 국가가 병원비를 지원하는 저소득층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운동하는 일러스트 이미지달려가는 소방자

건강검진을 안 받으면 생기는 불이익은?

건강검진은 의무는 아니지만, 조기 진단 기회를 놓쳐 중병이 늦게 발견되거나, 치료비가 폭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보험 심사나 복지사업 신청 시 건강검진 이력을 요구하기도 하며, 건강관리 서비스 연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신청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송한 안내문을 확인하고, 공단 지정 병·의원에 예약해 방문하면 됩니다. 건강iN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전화로도 조회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건강검진은 선택이 아니라 기회입니다. 지금의 내 몸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앞으로의 삶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국가가 무료로 제공하는 제도인 만큼, 꼭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연도에 검진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기온이 오르면 찾아오는 땀띠·피부염] 예방과 치료

기온이 오르기 시작하면 피부에 가장 먼저 반응이 나타납니다. 괜찮겠지 싶었던 가벼운 가려움이, 어느새 땀띠나 접촉성 피부염으로 번져 일상에 불편을 주기도 하죠.특히 요즘처럼 날은 더워

woocho2.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