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미국에서는 니코틴 파우치로 인한 영유아 니코틴 중독 사고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입에 넣는 형태로 담배 연기가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덜 해로운 담배'처럼 인식되기도 하지만아이들에게는 단 한 번의 노출로도 심각한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니코틴 파우치가 향후 본격적으로 유통될 가능성이 큰 신종담배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정식 판매되지 않았지만, 해외 직구와 온라인 유통은 이미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아이가 실수로 섭취할 경우 발작, 호흡 곤란,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성이 보고되고 있어 보호자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경각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니코틴 파우치의 실체와 미국에서의 사고 사례, 그리고 국내 규제 필요성에 대해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니코틴 중독의 주요 증상 안내 인포그래픽. 피부 발적, 침 흘림, 어지럼증, 구토, 호흡 곤란, 저혈압, 발작 등 시각적으로 표현된 중독 경고 그림

📌 니코틴 파우치란?

  • 담뱃잎에서 추출한 니코틴을 작은 파우치 형태로 만들어 잇몸과 입술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제품
  • 불에 태우지 않기 때문에 연기가 나지 않고 냄새도 거의 없음
  • 실내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해외에서는 ‘건강 위해도가 낮다’는 식으로 홍보됨

하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습니다
니코틴 자체는 여전히 중독성과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특히 어린아이가 실수로 섭취하면 심각한 건강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한 손에는 니코틴 파우치 통을, 다른 손에는 낱개의 파우치 제품을 들고 있는 모습. 흰색 주머니 형태의 니코틴 제품 구조를 보여주는 실제 사용 장면

미국에서 실제 발생한 영유아 중독사고

SBS 보도와 NBC 뉴스에 따르면, 미국 소아과학회가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2023년까지 6세 미만 영유아의 니코틴 중독 사례는 무려 134,663건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중 76%는 2세 미만이었고, 대부분 가정 내에서 발생한 사고였습니다

📌 주요 노출 사례:

  • 부모의 가방, 조리대 위에 둔 니코틴 파우치나 액상 전자담배 제품을 아이가 호기심에 입에 넣은 경우
  • 캔디·껌처럼 생긴 니코틴 제품을 장난감으로 오해한 경우

👶 영유아 중독의 위험성:

🚨 2020년에는 10만 명당 0.48건이었지만
📊 2023년에는 10만 명당 4.14건으로 약 8배 증가

⚠️ 중독 사고 중 39건은 호흡곤란이나 발작 등 중증 부작용 발생

💀 니코틴 중독으로 인한 영유아 사망 사례도 보고됨

여성 입에 니코틴 파우치를 넣는 사용 장면. 사용 방법 안내 텍스트 'How to use nicotine pouches?' 포함된 가이드 이미지 손에 들고 있는 니코틴 파우치 제품과 내용물. 작고 흰색의 파우치 형태로 입에 넣기 쉬운 구조를 보여줌다양한 맛(드래곤 프루트, 커피, 블랙체리)의 VELO 니코틴 파우치 포장 이미지. 파우치 외형과 제품 경고 문구 포함
구분 내용
🔎 국내상황 국내 정식 판매는 아직 없지만, 해외 직구 및 온라인 노출은 활발히 이루어짐
🛑 규제 사각지대 합성 니코틴 사용 시, 국내법상 담배 정의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 불가 가능성
🚨 질병청 입장 니코틴 파우치는 금연 보조제와 유사한 외형으로 혼동 우려,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보호자 주의 니코틴 제품은 반드시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가방, 조리대 위 등 노출 금지

🔒 마무리 메시지

니코틴 파우치는 연기가 없고 실내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덜 해로운 담배’처럼 포장되고 있지만,
니코틴의 중독성과 장기적 건강 악영향은 여전히 존재하며,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우리 사회가 단순 흡연 유해성 논의를 넘어서 신종 담배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할 시점입니다

 

폭염이 계속되는 여름 건강을 지키세요

 

 

[2025 폭염 속보] 하루 238명 온열질환…예방수칙 모르면 위험합니다

7월 한 달 기준, 역대 최다 기록입니다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도 언제든 폭염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특히 고령층·야외근로자·농작업 종사자라면 지금 당장 생활방식을 점검해야 합니다이

woocho2.com